LG U 플러스 테더링 데이터 요금제 핫스팟 많이 쓰는 법

LG U 플러스

LG U 플러스 테더링 데이터 요금제 핫스팟 많이 쓰는 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요즘은 스마트기기를 여러 개 가지고 다니는 분들이 많죠. 저 역시 노트북을 자주 사용하다 보니 테더링 데이터가 엄청나게 중요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곳에서는 와이파이가 없기 때문이죠.

와이파이를 사용하면 좋지만 카페와 같은 장소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면 여러 명이 사용하다 보니까 보안에 취약하여 불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 개인 테더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노트북을 사용하지만 최근 테더링 데이터를 제한하다 보니 많은 논란인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LG U 플러스 테더링 데이터 요금제 핫스팟 많이 쓰는 법
LGU 플러스 요금제

LGU 플러스 요금제

LGU 플러스 요금제를 보면 5G 요금제가 조금 더 가격은 비싸지만 테더링 데이터를 많이 지급하기 때문에 5G 요금제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가격차이도 크게 나지 않아서 테더링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5G 요금제를 사용하는걸 적극 권장드립니다.

솔직히 여전히 5G가 어디서든 잘 터지지 않는데 제가 5G 요금제를 사용하지만 LTE 모드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5G의 이점은 다운로드 속도인데 다운로드할 때만 5G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요금제를 살펴보면 다양한 가격대가 있는데 너무 고가의 요금제를 사용하면 많은 부담입니다. 그래서 적당한 요금제를 사용하면서 테더링 데이터도 최대한으로 많이 주는 요금제를 선택하는 게 좋겠죠.

5G 프리미어 레귤러
LGU 플러스 데이터
5G 프리미어 플러스
LGU 플러스 데이터

테더링 데이터

5G 요금제에서 그나마 덜 부담되는 요금제에서 테더링 데이터를 많이 주는 요금제 2개를 선정했습니다. 5G 프리미어 레귤러 월 95,000원, 5G 프리미어 플러스 105,000원 2가지 요금제를 선정했습니다. 두 요금제 모두 일반 데이터는 무제한인데 다른 점을 찾자면 스마트기기 1회선 무료, 2회선 무료를 제공합니다. 즉 1회선 무료면 워치 LTE 요금을 무료로 선택할 수 있으며, 2회선이면 워치, 태블릿 2개를 모두 요금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제에 핵심인 테더링 데이터를 요금제별로 살펴보면 5G 프리미어 레귤러는 공유 데이터가 50GB입니다. 50GB를 테더링, 쉐어링 둘 다 모두 공용으로 소모되는 데이터로 테더링과 쉐어링 데이터가 분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50GB라면 테더링 데이터가 부족한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되죠.

5G 프리미어 플러스는 더 높은 가격인 105,000원입니다. 가격대는 레귤러보다 10,000원 더 높은 요금제이지만 테더링 데이터가 2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다른 게 똑같지만 태블릿/스마트기기 월정액을 할인해주는데요. 스마트기기 총 2대를 각각 11,000원씩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태블릿, 스마트워치를 각각 사용하여 11,000원씩 할인받을 수 있는 것이죠.

KT 테더링 데이터 제한 핫스팟 제한 테더링 사용하려면 KT

이번 글에서 중요한 요점인 테더링 데이터는 레귤러보다 2배가 더 주어집니다. 테더링 50GB, 쉐어링 50GB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단점이 바로 생기죠. 바로 테더링과 쉐어링 데이터를 공용이 아닌 나누어져 있다는 것. 즉 유심칩을 끼워 쓸 수 있는 스마트기기나 노트북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유심칩을 끼워 쓰기 위해서는 LTE 전용 모델을 사용해야 하는데 노트북 같은 경우는 LTE 모델을 살 순 있지만 사양이 달리기 때문에 그렇게 선호하지 않습니다. 레귤러처럼 테더링 데이터와 쉐어링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운영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갤럭시 플립 4
갤럭시 플립 4

데이터 많이 사용하는 법 - 이동식 포켓파이 사용하기

테더링 데이터가 빠르고 좋기는 하지만 데이터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사용량이 많으시다면 이동식 와이파이를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SKT 포켓파이, KT 에그, LG 모바일 라우터라는 이름으로 출시했으며 데이터만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LG 모바일 라우터는 현재 운영 중이지 않아 사용할 수 없고 SKT와 KT만 운영하고 있습니다.

SKT는 20GB 제공에 10Mbps 속도를 지원하는데 가격은 월 24,750원, KT 에그는 데이터가 무제한인 대신에 5G와 WiFi 6을 지원하여 속도가 빠르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동시 16대까지 연결이 가능하고 에그 디자인도 심플하여서 가지고 다니기에도 편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은 단말기 값이 있어서 단말기 값도 지불해야 합니다. 단말기 할부금 12,884원, 통신요금 19,800원을 더하면 월 32,684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12개월 기준이고요. 이 가격도 단말기 할인 138,000원을 지원한 가격이라는 것. 장점이라면 단말기 값을 다 내고 나면 더 저렴한 요금에 더 많은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저도 노트북을 사용하지만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거나 하지 않고 인터넷, 블로그 작업 위주로 하다 보니 테더링 데이터로만 가능합니다. 물론 테더링 제한이 생기고 난 후 노트북에서는 절대 영상을 시청하지 않고 있습니다. 평소 직업이 스마트기기나 노트북 같이 인터넷이 필요로 하는 작업자분들은 이동식 데이터나 테더링 데이터를 많이 주는 가성비 있는 요금제 또는 쉐어링이 되는 기기를 가지고 있어서 쉐어링, 테더링 모두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